Information Drug 약물

약물 약품 용량 Contents... 924
  • Cabergoline

    화학 1. Prolactin Inhibitor/Dopamine (D2) Agonist 2. 맥각(ergot)에서 유도된 것으로 암개와 암고양이의 prolactin의 수준을 낮춤 약리 1. Cabergoline은 dopamine2 (D2) 수용기에 매우 높은 친화성을 가져 작용시간이 길다. 2. prolactin 분비를 직적접으로 뇌하수에서 억제함 3. bromocriptine과 비교해서 D2에 대한 특이도가 높음 4. 구토유발은 낮음 ...

    비뇨계 및 성호로몬 October 20, 2019 294 Hits

  • Gemcitabine

    약리 1. 세포 주기 특이성을 가지며 주로 S기에 작용함 2. G1/S기의 경계에서 S기로의 진행 또한 억제 3. 세포 내에서 diflurodeoxycytidine monophosphate(dFdCMP)로 대사되어 diphosphate (dFdCDP)와 triphosphate (dFdCTP)형태로 전환됨 4. diphosphate는 ribonucleotide reductase를 억제하고, triphosphate는 DNA 가닥 안으로 흡수되...

    항종양 및 면역조절 물질 October 12, 2019 349 Hits

  • Carboplatin

    화학 1. Carboplatin은 cisplatin과 유사한 platinum이 들어있는 항종양제 2. 흰색 내지는 회색의 결정성 분말 3. 물에 14 mg/ml로 녹음, 알콜에는 안 녹음 4. 증류수에 녹여서 주사제로 사용 5. pH는 5-7, 삼투압은 94 mOsm/kg 보관 1. 분말은 차광하여 실온보관 2. 주사제로 만든 것은(10 mg/ml) 8 시간까지 안정. 경우에 따라서는 24 시간 안정되지만 냉장보관필요 약리 1. 정확한...

    항종양 및 면역조절 물질 March 06, 2020 430 Hits

  • Mercaptopurine

    화학 1. 퓨린 유사체 2. 옅은 황색의 결정상 분말 3. 물에 녹지 않음 4. pKa 7.6 5. 동의어: 6-mercaptopurine, 6-MP 보관/안정성 1. 정제는 실온에 밀폐하여 보관 약리 1. 세포 내에서 ribonucleotide로 전환돼 purine antagonist로 작용 2. RNA와 DNA 합성을 억제 3. 또한 체액성 면역을 억제하여 면역억제제로서의 작용도 지님 약동학 1. 경구 투여 후 흡수율은 다...

    항종양 및 면역조절 물질 October 20, 2019 296 Hits

  • Phenamidine isethionate, Pentamidine isethionate

    화학 1. 방향족 diamidine

    항기생충제, 살충제, 기피제 November 06, 2019 229 Hits

  • Carbenicillin indanyl sodium

    화학 1. 현재는 경구용 제제만 사용 2. 쓴 맛이며, 백색 혹은 황백색의 분말로 물과 알코올에 잘 녹음 3. carindacillin sodium 또는 indanylcarbenicillin sodium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보관/안정성 1. 기밀 용기에 보관하고 30도 이상의 온도를 피해야 함 2. 희석용 분말은 30도 이하에서 보관 약리 1. anti-Pseudomonas penicillin에는 carbenicillin 과 ticar...

    전신성 항감염제 항생제-페니실린 October 22, 2019 346 Hits

  • Methenamine mandelate

    약리 1. 미국에서 사용이 중지된 약물 2. methenamine hippurate가 대신 사용되고 있음

    전신성 항감염제 October 22, 2019 300 Hits

  • Fentanyl citrate

    약리 1. opioid계열로서 mu 수용체의 agonist이며, 매우 단기적으로 작용하고 morphine에 비해 100배 효용이 있음 2. mu 수용체는 대개 뇌의 통증 조절 부위에 존재 3. opioid계열의 작용인 진통, 다행감, 호흡억제, 의존증, 축동, 저체온 등이 나타날 수 있음 4. opioid계열 진통제의 수용체는 대뇌변연계, 척수, 시상, 시상하부, 선조체와 중간뇌에서 고농도로 발견됨 5. 위장관과 요로, 평활근과 같은 조직...

    신경계 마약 October 13, 2019 464 Hits